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시장 변동성,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 앞두고 혼란스러운 분위기

by richguyhappy 2025. 4. 2.

오늘은 미국 시장의 최근 동향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가 가져올 영향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 미국 증시, 희비 엇갈린 장세

지난 3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어요. 다우존스 지수는 1% 상승했고, S&P 500도 0.55% 올랐지만, 나스닥은 0.14% 하락했습니다. 특히 장 초반에는 테크 기업들이 5% 이상 급락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어요.

이런 시장의 불안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할 새로운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때문인데요. 실제로 올해 1분기 S&P 500은 4.59%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은 무려 10% 이상 하락했습니다.

## 오늘 새벽 발표될 '상호관세'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한국시간 3일 새벽 5시경) '미국을 더 부유하게'라는 제목의 행사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내용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백악관 대변인은 "내일 관세 발표가 있을 것이며, 즉시 효력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 날을 "미국 해방의 날"로 여러 차례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미국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정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관세 정책, 어떤 내용이 담길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순히 관세율만 올리는 게 아니라 비관세장벽, 환율정책, 부가세 등을 종합해 적정 관세율을 매긴 후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에 25%의 관세율을 부과한 상태에서 상호관세까지 더해진다면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 경제 지표도 우려스러운 상황

미국의 3월 제조업 PMI는 49.8로 2월의 52.7에서 하락했고, 시장 기대치인 51.8도 밑돌았습니다. PMI가 50 아래로 떨어졌다는 것은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다는 신호인데요.

제조업 생산량이 하락하고, 공장들의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며, 신규 주문 성장도 거의 멈춘 상태라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관세 정책으로 인한 추가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 중 하나인데요. 특히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주요 수출품에 대한 관세가 강화된다면 한국 경제에도 영향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국가를 대상으로, 어떤 품목에 어떤 수준으로 적용될지는 오늘 발표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네요. 관세 발표 이후 시장 반응에 따라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