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미국 주요 경제지표 총정리 (CPI, PPI, 고용지표 등)

by richguyhappy 2025. 3. 12.
반응형

💡 일정 + 해석 + 투자자 대응법까지 한 번에!


✅ 1.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 정의: 소비자가 실제 생활에서 구매하는 상품·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률
  • 중요도: ★★★★★
  • 발표 주체: 미국 노동통계국 (BLS)
  • 발표 시기: 매월 중순 (보통 12~13일 전후)
  • 시장 영향:
    • CPI 상승률이 높으면 → 인플레이션 우려 → 금리 인상 가능성 ↑ → 증시 하락
    • CPI가 예상보다 낮으면 → 금리 인상 기대 낮아짐 → 증시 상승 가능

✅ 2. PPI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

  • 정의: 생산자들이 상품을 공급할 때 받는 가격의 변동률 (공장 출고가 개념)
  • 중요도: ★★★★☆
  • 발표 시기: CPI 다음날 또는 그 주 후반 (보통 매월 13~15일 경)
  • 시장 영향:
    • PPI는 CPI의 선행지표로 여겨짐
    • PPI가 오르면 CPI도 오를 가능성 높음 → 시장 선반영

✅ 3. Non-Farm Payroll (비농업 고용지표, NFP)

  • 정의: 농업 제외한 미국 내 고용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
  • 발표 주체: 미국 노동부
  • 발표 시기: 매월 첫 번째 금요일 밤 9시 30분 (여름 기준)
  • 시장 영향:
    • 고용 증가 → 경제 견고 → 증시엔 긍정
    • 너무 좋으면 → 금리 인상 우려로 증시 하락도 가능

✅ 4. 실업률 (Unemployment Rate)

  • NFP와 함께 발표, 같은 시간
  • 실업률 상승 → 경기 둔화 신호
  • 실업률 하락 → 경기 회복 or 과열

✅ 5. Core CPI / Core PPI

  •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 제외한 물가지표
  • Fed가 기준금리 판단 시 더 중요하게 보는 수치

📅 2025년 주요 경제지표 발표 예상 일정

지표발표일 (예상, 한국 기준)발표 시간

CPI 매월 13일 전후 밤 22:30 또는 21:30
PPI 매월 14~16일경 동일
NFP (고용보고서) 매월 첫째 금요일 밤 22:30 (여름 시간)
FOMC 앞서 안내한 8회 일정 새벽 3~5시
실업률 NFP와 동시 발표 동일

실제 일정은 발표 기관의 공지를 참고해야 정확하고,
Investing.com, Forex Factory, 연합인포맥스 같은 경제 캘린더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해.


✅ 투자자 대응 전략

발표 전발표 후

시장 예상치 확인 (컨센서스 확인) 실제 수치 vs 예상치 비교
포지션 최소화 or 관망 전략 예상치보다 강한 수치 → 시장 급변 가능
변동성 확대 주의 장기 투자자는 오히려 매수 기회일 수도

 

 

반응형